반응형

임상실험을 통해 밝혀진 신종 코로나에 영향을 주는 약들

 

안녕하세요. 약사 와이프와 함께하는 히픽입니다.

오늘 살펴볼 논문은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rapeutic procedure for four cases with 2019 novel coronavirus pneumonia receiving combined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treatment"로 2020년 2월에 나온 논문입니다.

The paper we are going to look at today is the "Clinical Characters and Therapeutic Procedure for Four cases with 2019 novel Coronavirus pneumania Recreating Combined Chinese and Western mediaine Treatment," which was published in February 2020.

해당 논문은 2019년 중국 우한에서 발병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에 어떤 약이 효과가 있는지 임상을 통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The paper examines what drugs work for the new coronavirus pneumonia in Wuhan, China, in 2019.

 

2019년에 시작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은 현재도 계속 전염되고 있습니다.

The new strain of coronavirus pneumonia, which started in 2019, continues to spread today.

임상실험을 계속 진행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도 효과적인 치료법이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Clinical trials continue, but effective treatments have not been validated yet.

 

해당 논문에서 임상실험을 통해 얻은 치료제는 크게 3가지입니다.

There are three major treatments available from clinical trials in this paper.

첫번째는 "칼레트라"라고 하는 미국 "애브비" 회사가 판매하는 에이즈 치료제는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라고 하는 항바이러스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HIV 바이러스 복제를 막는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입니다.

The first AIDS drug sold by the U.S. company AbbVie, called "Kaletra," consists of anti-viral drugs called Lopinavir/ritonavir, and is a proteolytic inhibitor that prevents HIV virus replication.

췌장염이나 간독성, 당뇨병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단기 복용시에는 상당히 미미한 편이라고 합니다.

There may be side effects of pancreatitis, epilepsy or diabetes, but it is said to be fairly minor in short-term use.

2002년 사스 당시에도 실험실에서는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 성분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 성분이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합니다.

Even during SARS in 2002, the laboratory said it believed the Lopinavir/ritonavir could be affected by the new coronavir virus because there were studies that showed that the Lopinavir/ritonavir component worked.

 

두번째는 "아르비돌"이라고 하는 러시아와 중국에서 사용되는 "Umifenovir"이라고 하는 약물이 있는데, 해당 약물은 바이러스가 표적 세포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면역 반응을 자극한다고 합니다.

The second is a drug called "Arbidol," which is used in Russia and China called "Umifenovir," which inhibits viruses from entering target cells and stimulates immune responses.

러시아에서는 엄청 많이 팔린 약품이지만, 미국에서는 아직 FDA 승인이 나지 않은 약물이라고 하네요.

It's a big-selling drug in Russia, but in the U.S., it's not yet FDA approved.

 

마지막으로 우한 폐렴에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SFJDC"라고 불리는 전통 한의학입니다.

The last thing that claims to be effective against Wuhan pneumonia is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alled "SFJDC."

한약재인 Shufeng Jiedu Capsule (SFJDC)은 항 바이러스제, 항균제, 항 종양 제 및 항염증제로 중국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고 합니다.

Shufeng Jiedu Capsule (SFJDC),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as been used widely as antiviral, antibacterial, antitumor, and anti-inflammatory drugs.

 

해당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증세가 크게 호전되었다고 합니다.

Patients who have received the treatment have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symptoms with the new coronavirus.

 

해당 논문에서 나온 내용이 아니라도, 미국 임상정보사이트(Clinicaltrials.gov)를 따르면 독감치료제, HIV 치료제, C형 간염이나 B형 간염 치료제 등 여러 치료제를 이용한 임상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Even though it's not from the paper, according to the U.S. Clinical Information Site (Clinicaltrials.gov), clinical development is underway using a number of treatments, including flu, HIV, hepatitis C or hepatitis B treatments.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이 종료될 때까지,

Until the end of the new Korona virus spread,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을 잘 씻는 등,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서 전염병 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we should do our best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by thoroughly managing personal hygiene, such as wearing masks and washing our hands well.

30초 이상 비누로 손을 씻으면 세균 대부분이 죽기 때문에, 손소독제를 자주 사용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Since washing your hands with soap for more than 30 seconds will kill most germs, it would be better to have a habit of using hand sanitizers frequently.

반응형
반응형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초기 감염의 관계

 

안녕하세요. 약사 와이프와 함께하는 히픽입니다.

오늘 살펴볼 논문은 "Early Transmission Dynamics in Wuhan, China, of Novel Coronavirus–Infected Pneumonia"로, 2020년 2월에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시된 내용입니다.

Today's paper is "Early Transmission Dynamics in Wuhan, China, of Novell Coronavirus-Infected Pneumania," which was published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in February 2020.

현재 한국을 공포에 떨게 만드는 우한 폐렴 혹은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라고 불리는 이 병은 2019년 12월에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시작되었습니다.

The disease, now called Wuhan Pneumonia or Wuhan Corona Virus, which terrorizes Korea, began in Wuhan, China's Hubei Province, China.

얼마나 많은 사람이 걱정을 하는지, 아래 이미지를 보면 한국 질병관리본부에서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어떤 환자가 생겼고 환자의 이동경로를 간단히 볼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If you look at how many people are worried, the images below show that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you have a patient in Korea and you have created a page that gives you a quick look at the patient's movements.

제가 만든 페이지는 아니고 어떤 능력자분이 만든 페이지입니다.

It's not a page I made, it's a page made by someone with abilities.

우한 폐렴 지도, http://coronamap.site 참조.

해당 논문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처음 우한에 퍼졌을 때,

우한에서 확진을 받은 425명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진행한 내용을 정리한 논문입니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ults of an epidemiological survey of 425 people who were confirmed in Wuhan when the Korona virus first spread.

해당 논문에서 확인한 환자의 평균 나이는 59세이고, 56%가 남성이었다고 합니다.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e found in the paper was 59 years old, and 56 percent were male.

 

우한 폐렴은 초반에 박쥐고기때문에 퍼졌다는 이야기도 있었고, 화학 실험때문에 퍼졌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There were stories of Wuhan pneumonia being spread by bat meat in the beginning, and there were stories of chemical experiments.

하지만 논문에 따르면,

2019년 12월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병한 대부분의 사례는 후난 해산물 도매시장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aper, most cases of coronavirus outbreak in December 2019 are related to the Hunan Seafood Wholesale Market.

2020년 1월 이후에는 해산물 도매시장과의 관계성을 찾기 힘들다고 하니, 초반 우한 폐렴/코로나 바이러스가 퍼지는데 후난 해산물 도매시장이 큰 이유가 된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Since January 2020, it is hard to find any connection with the seafood wholesale market, so I think Hunan seafood wholesale market is a big reason for the spread of pneumonia/corona virus in the early days.

확실히 관리되지 않는 수산물 시장은 질병을 초례할 수 있습니다.

Surely the uncontrolled fish market can lead to disease.

 

우한 폐렴의 평균 잠복기는 5.2일인데, 95% 표본으로 봤을 때 최대 잠복기는 12.5일 이라고 합니다.

The average incubation period for Wuhan pneumonia is 5.2 days, and the maximum incubation period for 95 percent of the samples is 12.5 days.

현재 한국 질병관리본부에서 생각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최대 잠복기는 14일이라고 합니다.

The maximum incubation period for coronavirus currently thought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s 14 days.

 

결국 처음 코로나 바이러스가 퍼진 우한에서는 후난 해산물 도매시장이 연관이 있지만,

이후에는 사람과 사람의 감염이 대부분인 것으로 보입니다.

Eventually, in Wuhan, where the Korona virus first spread, Hunan Seafood Wholesale Market is involved, but after that, it seems that humans and humans are most likely infected.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을 잘 씻는 등,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서 전염병 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We should do our best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by thoroughly managing personal hygiene, such as wearing masks, washing our hands well.

30초 이상 비누로 손을 씻으면 세균 대부분이 죽고, 손소독제를 자주 사용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If you wash your hands with soap for more than 30 seconds, most germs will die, and you should get into the habit of using hand sanitizers often.

 

반응형
반응형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과다복용과 누에 번데기 오일과의 관계

 

안녕하세요. 약사 와이프와 함게하는 히픽입니다.

오늘 살펴볼 논문은 "Silkworm pupa oil attenuates acetaminophen‐induced acute liver injury by inhibiting oxidative stress‐mediated NF‐κB signaling"로 2020년 1월에 Beijing Technology and Business University에서 나온 논문입니다.

Today's paper we're going to look at is "Silkworm popa oiltenuates acetaminophen‐indicted acinhibiting stressFmediated NF‐B Signaling," which was published in the Beijing Technology University paper in January 2020.

 

2019년 1분기 국내 일반의약품 매출 순위 상위권에 있는,

동아제약의 판피린 Q의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과 관련이 있는 내용입니다.

This is related to acetaminophen, a component of Dong-A Pharmaceutical’s panpyrin Q, which is at the top of the sales rankings of General Medicine in Korea in the first quarter of 2019.

동아제약의 판피린Q과 같은 감기약에 쓰이는 아세트아미노펜을 과다 복용하면 심각한 간 독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Excessive use of acetaminophen, which is used in cold medicines such as Dong-A Pharmaceutical’s PanfirinQ, can cause serious liver toxicity.

 

다른 약도 마찬가지겠지만,

아세트아미노펜은 기존에도 작성했던 내용처럼 정해진 함량을 준수해야 복용해야 합니다.

The same may be true of other drugs, but acetaminophen should be taken in accordance with the prescribed content, as previously prepared.

 

2019년에 누에 번데기 오일로 만든 화장품이 출시되면서 피부건강을 도와준다는 내용을 본적이 있었습니다.

I have seen that cosmetics made from silkworm pupa oil will be released in 2019 to help my skin stay healthy.

해당 논문은 아세트 아미노펜 과다 복용으로 인한 급성 간손상을 누에 번데기 오일이 얼마나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문입니다.

This paper is on how the silkworm pupa oil can protect against acute liver damage caused by an excessive dose of acetaminophen.

 

논문을 보면,

누에 번데기 오일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인한 간손상도 회복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The paper shows that The silkworm pupa oil shows that acetaminophen can also repair liver damage.

아세트아미노펜을 과다복용한 생쥐에게 누에 번데기 오일을 복용했을 때,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인한 간 손상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When ingested with silkworm pupa oil in mice that overdose acetaminophen, the damage to the liver caused by acetaminophen is reduced.

 

약을 복용하는 것은 신체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꼭 전문가와 상의 후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Taking medicine may have fatal problems with your body, so be sure to consult an expert before taking it.


반응형
반응형

플루벤다졸(flubendazole)과 암(cancer)과의 관계에 대해

The relationship between flubendazole and cancer.

 

안녕하세요. 약사 와이프와 함께하는 히픽입니다.

오늘 살펴볼 논문은 "Flubendazole demonstrates valid antitumor effects by inhibiting STAT3 and activating autophagy."로 2019년 웬저우 의학대학에서 나온 논문입니다.

Today's paper we're going to look at is "Flubendazole demonstrates valid antitumer effects by inhibiting STAT3 and activating authorship," which came from Wenzhou Medical College in 2019.

 

STAT3는 발암 유전자로, STAT3는 다양한 암의 원인은 물론 염증질환과 자가면역질환의 원인 단백질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논문에서도 STAT3 단백질의 활동을 억제하는데 초첨을 맞추고 있습니다.

STAT3 is a carcinogen, and STAT3 is well known for its various causes of cancer as well as its protein for inflammatory and autoimmune diseases. Therefore, the above paper focuses on curbing the activity of STAT3.

최근에 STAT3는 암,염증, 면역 질환의 치료 목표가 되어왔고 위 논문처럼 STAT3 억제를 목표로해서 억제 효과에 대해서 주장하는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Recently, STAT3 has been a treatment target for cancer, inflammation and immune diseases, and as in the paper above, there are papers claiming the deterrent effect with the goal of STAT3 inhibition.

논문을 보면,

플루벤다졸은 대장암(CRC) 세포의 생존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고 합니다.

In the paper,

Flubendazole effectively reduces the viability of Colorectal cancer(CRC) cells.

해당 연구팀의 데이터는 플루벤다졸이 암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정상적인 사람의 세포에서는 약한 억제를 보여준다고 합니다.

The team's data show that flubbendazol inhibits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weak in normal human cells.

현재 어떤 STAT3 억제제도 임상 적용을 위해 승인되지 않았지만, 해당 논문에서는 STAT3 억제 효과와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urrently, no STAT3 inhibitor has been approved for clinical application, but the paper shows STAT3 inhibitors and stability.

결론을 살펴보면 플로벤다졸이 STAT3 신호 전달을 차단하기 때문에, 플루벤다졸은 새로운 항암제일 수 있고, 대장암의 신 보조 화학 요법으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lubendazole exerts antitumor activities by blocking STAT3 signaling and inevitably affects the autophagy pathway. Flubendazole maybe a novel anticancer drug and offers a distinctive therapeutic strategy in neoadjuvant chemotherapy of CRC."

 

알벤다졸과 플루벤다졸이 여러 방송 매체를 통해서 항암, 비염 및 여러가지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하지만,

약을 복용하는 것은 신체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꼭 전문가와 상의 후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Although albendazol and flubendazol are said to be effective in anti-cancer, rhinitis and various diseases through various broadcasting media,

taking medicine may have fatal problems with your body, so be sure to consult an expert before taking it.

반응형
반응형

우한 폐렴과 메르스, 사스 비교우한 폐렴과 메르스(MERS), 사스(SARS) 비교 및 예방법

Comparison and Prevention of Pneumonia and Wuhan Pneumonia compared to MERS and SARS.

안녕하세요. 약사 와이프와 함께하는 히픽입니다.

우한 폐렴은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큰 이슈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Wuhan Pneumonia has recently created a big issue around the world.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 변종때문에 생긴 우한폐렴은 기존 메르스(MERS)나 사스(SARS)와 어떤 점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We want to find out what makes Wuhan Pneumonia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RS and SARS.

위의 표를 보면 아시겠지만,

3가지 모두 코로나 바이러스 변종때문에 생긴 질병입니다.

메르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중국에서 처음 발생이 되었습니다.

As you can see from the table above,

All three diseases are caused by the coronavirus strain.

All but MERS were first reported in China.

 

메르스(MERS)와 사스(SARS)는 한국에서 상황이 종료된 질병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메르스는 계속 진행중입니다.

메르스(MERS)는 다른 두 질병과 다르게 사망률도 높은 질병입니다.

MERS and SARS are diseases that have ended in Korea.

MERS is continuing in Saudi Arabia.

MERS is a disease with a high mortality rate unlike the other two.

 

우한 폐렴은 2019년 12월부터 중국에서 발병해서 현재 한국에서도 진행중인 질병입니다.

우한폐렴은 기존 사스(SARS)와 달리 잠복기가 최대 14일입니다.

Wuhan Pneumonia has been an ongoing disease in South Korea since December 2019 when it broke out in China.

Unlike conventional SARS, Wuhan pneumonia has a maximum incubation period of 14 days.

 

현재 치사율은 메르스(MERS)나 사스(SARS)에 비해서 낮은편이지만, 이후에 어떻게 증가할지 예상이 되지 않습니다.

현재 백신은 없지만, 항바이러스제와 항생제, 진통 해열제등으로 처방을 하고 있습니다.

The current fatality rate is lower than that of MERS or SARS, but it is not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We don't have a vaccine, but we're prescribing it with antiviral drugs, antibiotics, and pain relievers.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을 막기위해서는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약처 인증 마스크(N95, KF94, KF80 등) 뿐만 아니라,

일반반 일회용 마스크도 호흡기 분비물로부터 보호하는데에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꼭 착용을 권장합니다.

To prevent virus infection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it is important to make wearing a mask everyday.

In addition to the FDA certification mask (N95, KF94, KF80 etc.)

It is recommended to wear regular disposable masks because they are effective in protecting against respiratory secretions.

 

그리고 비누 혹은 알코올 세정제를 이용하여 손을 자주 씻어주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And washing your hands often using soap or alcohol cleansers can help prevent it.

반응형
반응형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섭취에 대해

 

안녕하세요. 약사 와이프와 함께하는 히픽입니다.

오늘 살펴볼 논문은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acetaminophen use and adverse birth outcomes in a pregnancy and birth cohort."로 2019년 토론토 대학에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아세트 아미노펜은 임신 중에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진통제인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동 발달 장애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임신 시 생기는 조산, 아이의 저체중은 아동 발달 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Acetaminophen is the only analgesic recommended for use during pregnancy. This use has recently been linked to childhood developmental disorders, a finding that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Adverse birth outcomes-preterm birth, low birthweight, and small for gestational age-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developmental disorders and can serve as intermediate outcomes when examining the impact of maternal acetaminophen use.

임신 전에 아세트 아미노펜을 사용하는 경우, 아이의 출산 체중이 낮을 수 있고 임신 기간이 짧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입니다. 

결론적으로는 임신전 아세트 아미노펜 사용은 아이의 출산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조심히 먹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Prepregnancy acetaminophen use may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adverse birth outcomes.

아세트 아미노펜의 대표적인 진통제로는 "타이레놀"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파스와 같은 살리실산계 진통제에 대해

보통 국소용 진통제로 쓰이는 것은 살리실산 함유의 제제와 케토 프로펜 등의 NSAIDs 성분 함유 제제가 있습니다.

붙이는 제제, 겔, 크림 등 다양한 제형이 있습니다.

살리실산 함유 파스에는 멘톨 등이 함유되어 진통 효과를 돕습니다.

Usually used as a local painkiller is a salicylic acid-containing agent and NSAIDs-including ketoprofen.

There are various types of products that can be attached, such as gel, cream and so on.

Pars containing salicylic acid contain menthol etc. to help with pain.

 

살리실산은 피부 3mm 내외의 깊이로 흡수되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자극 효과도 있습니다.

케토프로펜으로 대표하는 SAIDs 국소용 진통제는 환부에 일정 농도로 약효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전신 이상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Salicylate is absorbed into the skin's inner and outer 3mm depth, indicating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also skin irritation.

A local painkiller for SAIDs, represented by ketopropheen, can maintain a certain level of effectiveness in the affected area.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systemic abnormalities.

 

1975년 "FETAL EFFECTS OF REGULAR SALICYLATE INGESTION IN PREGNANCY" 논문을 보면

Abstract

The babies of 144 mothers who took salicylates regularly in pregnancy are described. These babies had a significantly reduced birth-weight compared with controls; many of them had a raised cord-blood salicylate level but had no clinical evidence of bleeding or hypoglycæmia. Their perinatal mortality was increased, but the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ies was not significantly raised.

위와 같은 Abstract가 있는데,

임산부의 경우 살리실산제제를 사용한 경우에 아이의 체중이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것으로 살리실산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스테민과 같은 글루코사민 섭취에 대해


글루코사민은 게, 새우 등 갑각류 껍질에서 얻은 키틴과 키토산을 가수분해 하여 얻은 것으로 연골의 주요 구성 성분입니다.

삼진제약의 오스테민과 같은 제품이 있습니다.

연골은 콜라겐, 프로테오 글리칸, 물로 구성됩니다.

퇴행성 관절염은 연골이 닳아서 생기는 질환이므로 글루코사민을 보충하면 연골세포 재생을 도울 수 있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Glucosamine is a major constituent of cartilage, obtained by hydrolyzing chitin and chitosan obtained from crustacean shells, such as crab and shrimp.

There are products such as ostemin.

Cartilage is composed of collagen, proteoglycans, and water.

There is a theory that degenerative arthritis is a disease caused by worn cartilage, so supplements of glucosamine can help cartilage cell regeneration.


콘드로이친은 포유류 연골조직에서 얻은 점액 다당류입니다.

히알루론산과 분자 구조가 유사합니다.

글루코아민과 마찬가지로 연골의 구성성분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콘로인과 같은 제품이 있습니다.

Chondroitin is a mucopolysaccharide obtained from mammalian cartilage tissue.

It is similar in molecular structure to hyaluronic acid.

Like glucoamines, it is known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cartilage components.

There are products such as conroin.


2009년 한국보건 의료원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40대 이상 성인의 30%가 글루코사민을 먹은 경험이 있습니다.

그 중 43%는 예방 목적으로 복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에서 글루코사민의 진통, 예방효과에 대해서는 효과에 논란이 있습니다.

위 두 약물은 장기 복용해도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According to 2009 Korea Health & Medical Center data, 30% of adults over 40 years old have eaten glucosamine.

Of these, 43% were taking prophylactic doses.

The effects of glucosamine on the pain and prevention of degenerative arthritis are controversial.

Both of these drug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do not cause any side effects even after long-term use.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을 같이 쓸 경우 상승작용이 있다는 연구도 있지만 반대로 효과가 낮아지는 연구도 있습니다.

같은 성분이라도 제품에 따른 효과 차이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약사는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선정해 줄 수 있어야 합니다.

Glucosamine and chondroitin have been shown to be synergistic when used together, but some studies have found the effect to be lower.

Even with the same ingredients, the effect of the product is quite different, so the pharmacist should be able to select the product with high quality.


(위 내용은 약학 정보원에서 작성한 "OTC 선택가이드"란 책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This is a summary of the book, "OTC Selection Guide," written by the Pharmacy Information Service.)


2018년 "O-GlcNAc Modification During Pregnancy: Focus on Placental Environment" 논문에 의하면,

Decidualization of primary endometrial stromal cells results in reduced global O-GlcNAcylation, mediated by decreased OGT expression, without changes in OGA expression. Cell differentiation occurs simultaneously with enhanced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domain–specific O-linked GlcNAc transferase (EOGT), involving mechanisms of energy homeostasis and glucose and fatty acid metabolism, which explains, at least in part, adverse pregnancy outcomes observed in metabolic disorders.


O-GlcNAcylation impacts embryogenesis and alterations in the maternal glucose metabolism may disrupt neurodevelopment. Neural stem cells submitted to an in vitro hyperglycemic environment resulted in augmented global O-GlcNAcylation via OGT enhanced activity, and displayed neural tube defects, suggesting that inhibition of altered OGT might be beneficial in preventing birth defects in hyperglycemic pregnancies

위 내용을 보면 글루코사민이 대사질환으로 인한 임신의 악영향이 미칠 수 있고,

선천적 기형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전문의 혹은 약사의 상담 후에, 임산부들은 글루코사민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이것으로 글루코사민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섭취에 대해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된 약은 "타이레놀"과 같은 진통제로 뿐만 아니라, "게보린", "펜잘", "판피린" 등 감기약으로도 사용됩니다.

파라세타몰(paracetamol)로도 불리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은 4g/1일 인 경우 안전성이 높은 것이 장점인 진통제입니다.

말초에서 통증의 자극생성을 차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열작용은 시상하부의 체온조절 중추 억제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스피린 천식이나 위점막 장해를 일으킬 위험도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Drugs containing acetaminophen are not only used as painkillers, 

such as "tirenol," but are also used as cold medicines such as "geborin," "penzal" and "pancipirin."

Acetaminophen, also known as paracetamol, is a pain reliever for 4g/1 day safety.

It is known to block the creation of a stimulus to pain in the peripheral.

The thermal action is known to be caused by the control of the temperature center of the hypothalamus.

It is known that there is little risk of causing aspirin asthma or gastritis.


아세트아미노펜은 소아 해열 진통제에서 일차적으로 사용되는 약입니다.

어린이의 발열 시 열이 내리지 않는다고 계속해서 복용하면 안되고, 해열용 좌약과 병행하면 안됩니다.

이유는 저체온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서 용법과 용량을 준수해야 합니다.

Acetaminophen is the primary drug used in pediatric fever painkillers.

Do not continue to take heat when a child is feverish, or do not combine with a fever-resistant drug.

The reason is that sometimes it causes low body temperature, so the usage and capacity must be adhered to.


아세트아미노펜은 소아뿐만 아니라 고령자 통증에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약이고 골절염 혹은 관절염에도 일차적으로 선택되는 진통제입니다.

FDA 임부투여 안전성 등급도 B로 임산부에게 비교적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습니다.

Acetaminophen is a drug that is considered primarily for the elderly as well as for children and is a primary choice for osteoarthritis or arthritis.

FDA maternity safety grade is also B, which can be administered relatively safely to pregnant women.


하지만 아세트아미노펜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간독성 증가 위험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대부분 독성이 없는 대사체로 전환이 되지만 아주 일부는 독성물질로 변환이 됩니다.

보통은 다시 무독성 대사체가 되기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평소 술을 많이 먹거나 지방간이 있는 사람은 아세트아미노펜을 대량으로 복용하면 간독성이 있는 물질이 대량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심각한 간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However, the most important caution in acetaminophen is the risk of increased liver toxicity.

Most acetaminophen converts into non-toxic metabolites, but only a small fraction of it is converted into toxic substances.

It's not a problem because it's usually non-toxic again.

However, people who usually drink a lot or have fat liver can cause serious liver damage as a large dose of acetaminophen i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미국 FDA에서는 2011년에 아세트아미노펜 함유 전문 의약품에 대해 1회 최대 용량을 325mg으로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식약처에서도 한번에 여러 종류의 아세트아미노펜 함유 의약품을 복용하지 않도록 복약 지도를 요청했다고 합니다.

특히 일반 의약품에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된 제품이 많아 최대 용량을 초과해서 복용할 위험이 높습니다.

In 2011, the FDA imposed a measure to limit the maximum dose once to 325 milligrams for specialty medicines containing acetaminophen.

Korea'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as also requested guidance to prevent taking drugs containing acetaminophen at one time.

In particular, many medicines contain acetaminophen, which increases the risk of taking them in excess of their maximum capacity


아세트아미노펜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호흡 곤란, 두드러기, 발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의 과량 복용에 의해 복통, 오심, 구토, 발한,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약학 정보원에서 작성한 "OTC 선택가이드"란 책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Acetaminophen is an allergic reaction that can cause difficulty breathing, rash and rash.

Excessive doses of acetaminophen may cause abdominal pain, miscarriage, vomiting, sweating, and jaundice.

(This is a summary of the book, "OTC Selection Guide," written by the Pharmacy Information Service.)


2014년 Zeyan Liew의 논문인 "Acetaminophen Use During Pregnancy, Behavioral Problems, and Hyperkinetic Disorders" 에 따르면,

이 논문은 아세트아미노펜을 임산부가 섭취했을 때, ADHD과 같은 행동장애나 고혈압증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지 여부를 조사한 눈문입니다.

Maternal acetaminophen use during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for HKDs and ADHD-like behaviors in children. Because the exposure and outcome are frequent, these results are of public health relevance but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추가적인 조사는 필요하지만, 임산부의 아세트아미노펜 사용은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우리나라 말로 주의력 결픽 과잉행동 증후군, 주의가 산만하고 활동량이 많으며 충동성과 학습장애를 보이는 정신적 증후군)이나 HKD과 같은 어린아이들의 행동장애에 높은 위험성이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2016년 Evie Stergiakouli의 논문인 "Association of Acetaminophen Use During Pregnancy With Behavioral Problems in Childhood"에 따르면,

이 논문도 아세트아미노펜을 임신중인 여성(18주, 32주)과 아기를 낳은 후에 섭취했을 때 아이의 행동 문제를 증가시키는지 여부를 조사한 논문입니다.

Children exposed to acetaminophen prenatally are at increased risk of multiple behavioral difficulties, and the associations do not appear to be explained by unmeasured behavioral or social factors linked to acetaminophen use insofar as they are not observed for postnatal or partner’s acetaminophen use. Although these results could have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advic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replicate the findings and to understand mechanisms.

마찬가지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임산부의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사용은 아이들의 다중 행동 장애의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런 논문을 보면 FDA 임부투여 안전성 등급도 B이라도 조심할 필요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것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의 임산부 사용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