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신과 코로나 19 감염과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and COVID19)

 

안녕하세요.

약사 와이프와 함께하는 히픽입니다.

오늘은 임신과 코로나 19와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미국 CDC에서 임신과 코로나 19 감염에 대해 조사한 자료를 개시했습니다.

Today we are going to tal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and Corona 19.
The U.S. CDC has launched a survey of pregnancy and corona 19 infections.

https://www.cdc.gov/mmwr/volumes/69/wr/mm6944e3.htm#T2_down

 

Update: Characteristics of Symptomatic Women of ...

This report provides an analysis of approximately 400,000 women aged 15–44 years with symptomatic COVID-19 ...

www.cdc.gov

아래 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임신 여성 23,434명, 비임신 여성 386,028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입니다.

25세에서 34세 여성 군에서 임신 여성이 COVID19의 증상이 나타나는 비율이 현저하게 높습니다.

As you can see from the table below, we collected data from 23,434 pregnant women and 386,028 non-pregnant women.
In the 25- to 34-year-old female population, the incidence of COVID19 among pregnant women is significantly higher.

아래 표를 살펴보면,

ICU로 이송되는 비율은 임신한 여성이 2배 이상 높습니다. (10.5% vs 3.9%)

ICU는 보통 중환자실을 뜻합니다.

If you look at the table below, the rate of transfer to the ICU is more than twice that of pregnant women. (10.5% vs 3.9%)
ICU usually means intensive care unit.

같은 표 아래를 보면,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비율도 임신한 여성이 2배이상 높습니다. (2.9% vs 1.1%)

Below the same table, the rate of using respirators is more than twice that of pregnant women. (2.9% vs 1.1%)

에크모(ECMO)를 사용한 비율도 임신한 여성이 2배이상 높습니다. (0.7% vs 0.3%)

에크모(ECMO)는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신해서 혈액을 환자 몸에서 빼내어서 체외 산화 장치에서 산소를 혈액에 주입한 동시에 혈액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다시 환자 몸속으로 혈액으로 돌려보내는 장치를 말합니다.

 단순히 심장이나 폐의 기능을 보조하는 수준에서부터 심장, 폐의 기능이 마비되어 완전히 심장, 폐의 기능을 대신하는 수준으로 완전히 가동하여 이식을 기다릴 수도 있다고 합니다.

The percentage of women who used ECMO is twice as high as that of pregnant women. (0.7% vs 0.3%)

ECMO refers to a device that takes blood out of the patient's body instead of the function of the heart and lungs, injects oxygen into the blood from an in vitro oxidizer, removes carbon dioxide from the blood, and returns it back into the patient's body.

They say that you can wait for a transplant, starting with simply assisting the heart or lung function, to the point where the heart and lung functions are paralyzed and are completely in place of the heart and lungs.

최종 사망률 또한, 임신한 여성이 20% 정도 높습니다. (1.5% vs 1.2%)

The final death rate is also about 20 percent higher for pregnant women. (1.5% vs 1.2%)

물론 해외사례이긴 하지만,

산모들은 백신이 나와서 접종되기 전까지 감염에 더욱 주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임신 계획이 있는 부부들은 COVID-19가 조금 잠잠해질 때까지 늦추는 것도 좋은 선택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Of course it's an overseas case, but mothers should be more careful about infection until the vaccine comes out and is inoculated.
I think it would be a good choice for couples with pregnancy plans to delay the COVID-19 until it calms down a little.

 

반응형
반응형

임산부의 식단과 고혈압, 갑상선 기능저하증 관계에 대해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egnant woman's diet and high blood pressure and hypothyroidism.

안녕하세요. 약사 와이프와 함께하는 히픽입니다.

오늘 살펴볼 논문은 "The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of proteins, fats and  arbohydrates in the diet of pregnant women diagnosed with arterial hypertension or arterial hypertension and hypothyroidism."로 2020년 "Waksmańska et al. BMC Pregnancy and Childbirth"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최근 임산부들의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이 다양한 방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임산부들의 식습관과 여러 질병들이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Since pregnant women's diet and weight control have been affecting them in a variety of ways recently, we want to find out what their eating habits and diseases can do.

위 논문을 보면 동맥성 고혈압과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가진 임산부의 집단에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하루 평균 칼로리 소비량이 그렇지 않은 임신을 한 여성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훨씬 높았습니다.

In the above paper, the average daily calorie consumption of protein, fat and carbohydrates in a group of pregnant women with arterial hypertension and hypothyroidism was statistically much higher than that of pregnant women who did not.

위 사진은 갑산선 기능저하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The above picture shows hypoxia.

보건 복지부에서 작성된 그림인데,

It's from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갑산성 기능저하증은 동작이 느려지고, 추위를 많이 타고, 체중이 증가됩니다.

Hyperacid dysfunction can cause slow movement, coldness, and weight gain.

그리고 심박수가 감소하고, 심박출량이 감소합니다.

And the heart rate decreases, and the heart output decreases.

위 그림은 마찬가지로 보건복지부에서 작성한 그림입니다.

The above picture was also made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그림을 보면 알 수 있지만 고혈압의 경우 뇌, 눈, 심장, 콩팥에 영향을 줍니다.

As you can see from the picture, hypertension affects the brain, eyes, heart, and kidneys.

과도한 칼로리 섭취로 인해 임신 중 체중이 크게 증가하여 임신 중 동맥성 고혈압의 발생이 증가하였습니다.

Due to excessive calorie intake, weight during pregnanc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incidence of arterial hypertension during pregnancy.

동맥성 고혈압, 갑상선 기능저하증 진단을 받은 여성 집단에서 제왕절개를 할 확률이 정상임신을 한 여성 집단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In women diagnosed with arterial hypertension and hypothyroidism, the chances of cesarean section were much higher than in women with normal pregnancies.

논문을 보면 갑상선 질환을 잘못 치료하는 경우에 빈혈이나 유산, 조산, 고혈압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임신 중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치료하지 않는 경우 태아의 정신발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Studies show that treating thyroid diseases incorrectly increases the risk of anemia, miscarriage, premature birth and high blood pressure. Failure to treat hypothyroidism during pregnancy can also affect fetal mental development.

대부분의 임산부들은 임신 중에 단백질을 과다섭취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합니다. 특히 고혈압이나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앓고 잇는 임산부의 경우 하루 권장 섭취량의 2배 이상 단백질을 섭취합니다. 이렇게 체중이 늘어나면 건강과 질병에 당연히 큰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분만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Most pregnant women tend to overdose on protein during pregnancy. In particular, pregnant women who suffer from hypertension or hypothyroidism eat protein more than twice the recommended daily intake. This weight gain has of course a huge impact on health and disease. It can also affect delivery.

단백질뿐만 과도한 지방 섭취와 높은 설탕 섭취는 임산부의 식단에 특히 위험합니다. 그것은 제왕절개 수술 확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태아에 저혈당증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Too much fat as well as protein and high sugar are especially dangerous for pregnant women's diets. It can affect the probability of cesarean section surgery and can cause hypoglycemia in the fetus.

위 내용을 보지 않더라도, 임산부는 영양관리를 잘해야합니다.

Even if you don't look at the above, pregnant women should be well-nourished.

하지만 해당 내용을 보면 임산부가 너무 많은 영양소를 섭취하더라도, 태아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But if you look at it, you can see that if a pregnant woman takes too much nutrition, it can have a bad effect on the fetus.

이것으로 임산부의 식단과 고혈압,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관계에 대해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This concludes the post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t women's diet and high blood pressure and hypothyroidism.

반응형
반응형

파스와 같은 살리실산계 진통제에 대해

보통 국소용 진통제로 쓰이는 것은 살리실산 함유의 제제와 케토 프로펜 등의 NSAIDs 성분 함유 제제가 있습니다.

붙이는 제제, 겔, 크림 등 다양한 제형이 있습니다.

살리실산 함유 파스에는 멘톨 등이 함유되어 진통 효과를 돕습니다.

Usually used as a local painkiller is a salicylic acid-containing agent and NSAIDs-including ketoprofen.

There are various types of products that can be attached, such as gel, cream and so on.

Pars containing salicylic acid contain menthol etc. to help with pain.

 

살리실산은 피부 3mm 내외의 깊이로 흡수되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자극 효과도 있습니다.

케토프로펜으로 대표하는 SAIDs 국소용 진통제는 환부에 일정 농도로 약효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전신 이상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Salicylate is absorbed into the skin's inner and outer 3mm depth, indicating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also skin irritation.

A local painkiller for SAIDs, represented by ketopropheen, can maintain a certain level of effectiveness in the affected area.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systemic abnormalities.

 

1975년 "FETAL EFFECTS OF REGULAR SALICYLATE INGESTION IN PREGNANCY" 논문을 보면

Abstract

The babies of 144 mothers who took salicylates regularly in pregnancy are described. These babies had a significantly reduced birth-weight compared with controls; many of them had a raised cord-blood salicylate level but had no clinical evidence of bleeding or hypoglycæmia. Their perinatal mortality was increased, but the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ies was not significantly raised.

위와 같은 Abstract가 있는데,

임산부의 경우 살리실산제제를 사용한 경우에 아이의 체중이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것으로 살리실산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스테민과 같은 글루코사민 섭취에 대해


글루코사민은 게, 새우 등 갑각류 껍질에서 얻은 키틴과 키토산을 가수분해 하여 얻은 것으로 연골의 주요 구성 성분입니다.

삼진제약의 오스테민과 같은 제품이 있습니다.

연골은 콜라겐, 프로테오 글리칸, 물로 구성됩니다.

퇴행성 관절염은 연골이 닳아서 생기는 질환이므로 글루코사민을 보충하면 연골세포 재생을 도울 수 있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Glucosamine is a major constituent of cartilage, obtained by hydrolyzing chitin and chitosan obtained from crustacean shells, such as crab and shrimp.

There are products such as ostemin.

Cartilage is composed of collagen, proteoglycans, and water.

There is a theory that degenerative arthritis is a disease caused by worn cartilage, so supplements of glucosamine can help cartilage cell regeneration.


콘드로이친은 포유류 연골조직에서 얻은 점액 다당류입니다.

히알루론산과 분자 구조가 유사합니다.

글루코아민과 마찬가지로 연골의 구성성분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콘로인과 같은 제품이 있습니다.

Chondroitin is a mucopolysaccharide obtained from mammalian cartilage tissue.

It is similar in molecular structure to hyaluronic acid.

Like glucoamines, it is known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cartilage components.

There are products such as conroin.


2009년 한국보건 의료원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40대 이상 성인의 30%가 글루코사민을 먹은 경험이 있습니다.

그 중 43%는 예방 목적으로 복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에서 글루코사민의 진통, 예방효과에 대해서는 효과에 논란이 있습니다.

위 두 약물은 장기 복용해도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According to 2009 Korea Health & Medical Center data, 30% of adults over 40 years old have eaten glucosamine.

Of these, 43% were taking prophylactic doses.

The effects of glucosamine on the pain and prevention of degenerative arthritis are controversial.

Both of these drug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do not cause any side effects even after long-term use.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을 같이 쓸 경우 상승작용이 있다는 연구도 있지만 반대로 효과가 낮아지는 연구도 있습니다.

같은 성분이라도 제품에 따른 효과 차이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약사는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선정해 줄 수 있어야 합니다.

Glucosamine and chondroitin have been shown to be synergistic when used together, but some studies have found the effect to be lower.

Even with the same ingredients, the effect of the product is quite different, so the pharmacist should be able to select the product with high quality.


(위 내용은 약학 정보원에서 작성한 "OTC 선택가이드"란 책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This is a summary of the book, "OTC Selection Guide," written by the Pharmacy Information Service.)


2018년 "O-GlcNAc Modification During Pregnancy: Focus on Placental Environment" 논문에 의하면,

Decidualization of primary endometrial stromal cells results in reduced global O-GlcNAcylation, mediated by decreased OGT expression, without changes in OGA expression. Cell differentiation occurs simultaneously with enhanced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domain–specific O-linked GlcNAc transferase (EOGT), involving mechanisms of energy homeostasis and glucose and fatty acid metabolism, which explains, at least in part, adverse pregnancy outcomes observed in metabolic disorders.


O-GlcNAcylation impacts embryogenesis and alterations in the maternal glucose metabolism may disrupt neurodevelopment. Neural stem cells submitted to an in vitro hyperglycemic environment resulted in augmented global O-GlcNAcylation via OGT enhanced activity, and displayed neural tube defects, suggesting that inhibition of altered OGT might be beneficial in preventing birth defects in hyperglycemic pregnancies

위 내용을 보면 글루코사민이 대사질환으로 인한 임신의 악영향이 미칠 수 있고,

선천적 기형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전문의 혹은 약사의 상담 후에, 임산부들은 글루코사민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이것으로 글루코사민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섭취에 대해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된 약은 "타이레놀"과 같은 진통제로 뿐만 아니라, "게보린", "펜잘", "판피린" 등 감기약으로도 사용됩니다.

파라세타몰(paracetamol)로도 불리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은 4g/1일 인 경우 안전성이 높은 것이 장점인 진통제입니다.

말초에서 통증의 자극생성을 차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열작용은 시상하부의 체온조절 중추 억제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스피린 천식이나 위점막 장해를 일으킬 위험도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Drugs containing acetaminophen are not only used as painkillers, 

such as "tirenol," but are also used as cold medicines such as "geborin," "penzal" and "pancipirin."

Acetaminophen, also known as paracetamol, is a pain reliever for 4g/1 day safety.

It is known to block the creation of a stimulus to pain in the peripheral.

The thermal action is known to be caused by the control of the temperature center of the hypothalamus.

It is known that there is little risk of causing aspirin asthma or gastritis.


아세트아미노펜은 소아 해열 진통제에서 일차적으로 사용되는 약입니다.

어린이의 발열 시 열이 내리지 않는다고 계속해서 복용하면 안되고, 해열용 좌약과 병행하면 안됩니다.

이유는 저체온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서 용법과 용량을 준수해야 합니다.

Acetaminophen is the primary drug used in pediatric fever painkillers.

Do not continue to take heat when a child is feverish, or do not combine with a fever-resistant drug.

The reason is that sometimes it causes low body temperature, so the usage and capacity must be adhered to.


아세트아미노펜은 소아뿐만 아니라 고령자 통증에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약이고 골절염 혹은 관절염에도 일차적으로 선택되는 진통제입니다.

FDA 임부투여 안전성 등급도 B로 임산부에게 비교적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습니다.

Acetaminophen is a drug that is considered primarily for the elderly as well as for children and is a primary choice for osteoarthritis or arthritis.

FDA maternity safety grade is also B, which can be administered relatively safely to pregnant women.


하지만 아세트아미노펜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간독성 증가 위험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대부분 독성이 없는 대사체로 전환이 되지만 아주 일부는 독성물질로 변환이 됩니다.

보통은 다시 무독성 대사체가 되기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평소 술을 많이 먹거나 지방간이 있는 사람은 아세트아미노펜을 대량으로 복용하면 간독성이 있는 물질이 대량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심각한 간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However, the most important caution in acetaminophen is the risk of increased liver toxicity.

Most acetaminophen converts into non-toxic metabolites, but only a small fraction of it is converted into toxic substances.

It's not a problem because it's usually non-toxic again.

However, people who usually drink a lot or have fat liver can cause serious liver damage as a large dose of acetaminophen i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미국 FDA에서는 2011년에 아세트아미노펜 함유 전문 의약품에 대해 1회 최대 용량을 325mg으로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식약처에서도 한번에 여러 종류의 아세트아미노펜 함유 의약품을 복용하지 않도록 복약 지도를 요청했다고 합니다.

특히 일반 의약품에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된 제품이 많아 최대 용량을 초과해서 복용할 위험이 높습니다.

In 2011, the FDA imposed a measure to limit the maximum dose once to 325 milligrams for specialty medicines containing acetaminophen.

Korea'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as also requested guidance to prevent taking drugs containing acetaminophen at one time.

In particular, many medicines contain acetaminophen, which increases the risk of taking them in excess of their maximum capacity


아세트아미노펜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호흡 곤란, 두드러기, 발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의 과량 복용에 의해 복통, 오심, 구토, 발한,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약학 정보원에서 작성한 "OTC 선택가이드"란 책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Acetaminophen is an allergic reaction that can cause difficulty breathing, rash and rash.

Excessive doses of acetaminophen may cause abdominal pain, miscarriage, vomiting, sweating, and jaundice.

(This is a summary of the book, "OTC Selection Guide," written by the Pharmacy Information Service.)


2014년 Zeyan Liew의 논문인 "Acetaminophen Use During Pregnancy, Behavioral Problems, and Hyperkinetic Disorders" 에 따르면,

이 논문은 아세트아미노펜을 임산부가 섭취했을 때, ADHD과 같은 행동장애나 고혈압증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지 여부를 조사한 눈문입니다.

Maternal acetaminophen use during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for HKDs and ADHD-like behaviors in children. Because the exposure and outcome are frequent, these results are of public health relevance but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추가적인 조사는 필요하지만, 임산부의 아세트아미노펜 사용은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우리나라 말로 주의력 결픽 과잉행동 증후군, 주의가 산만하고 활동량이 많으며 충동성과 학습장애를 보이는 정신적 증후군)이나 HKD과 같은 어린아이들의 행동장애에 높은 위험성이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2016년 Evie Stergiakouli의 논문인 "Association of Acetaminophen Use During Pregnancy With Behavioral Problems in Childhood"에 따르면,

이 논문도 아세트아미노펜을 임신중인 여성(18주, 32주)과 아기를 낳은 후에 섭취했을 때 아이의 행동 문제를 증가시키는지 여부를 조사한 논문입니다.

Children exposed to acetaminophen prenatally are at increased risk of multiple behavioral difficulties, and the associations do not appear to be explained by unmeasured behavioral or social factors linked to acetaminophen use insofar as they are not observed for postnatal or partner’s acetaminophen use. Although these results could have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advic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replicate the findings and to understand mechanisms.

마찬가지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임산부의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사용은 아이들의 다중 행동 장애의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런 논문을 보면 FDA 임부투여 안전성 등급도 B이라도 조심할 필요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것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의 임산부 사용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